가족요양 본인부담금 2025년 60분 90분
가족요양 본인부담금
2025년 60분 90분 기준으로
어떻게 달라졌는지
알아보겠습니다.
2025년에는 가족요양 수가와
본인부담금이 모두
소폭 인상되었습니다.
가족요양을 계획 중이시거나
이미 이용하고 계신다면
이번 변경 내용을
꼭 확인해 두시기 바랍니다.
특히 60분, 90분 요양별
본인부담금 차이를
자세히 비교해 보겠습니다.
2025년 가족요양 수가 인상
2025년부터 가족요양 비용은
아래와 같이 조정되었습니다.
2024년 60분 수가는
24,120원이었는데,
2025년에는 24,580원으로
460원 인상되었습니다.
90분 기준은
32,510원에서 33,120원으로
610원이 오르게 되었습니다.
수가 인상폭은 크지 않지만
매일 이용하는 경우
누적 부담액이 달라지니
꼼꼼히 확인해야 합니다.
본인부담금 인상 내역
수가가 오르면
자연스럽게 본인부담금도
함께 인상됩니다.
2025년 본인부담률별
일일 본인부담금은
다음과 같습니다.
60분 기준으로 보면
15% 부담 시 3,687원
9% 부담 시 2,212원
6% 부담 시 1,475원
기초수급자는 0원입니다.
90분 기준은
15% 부담 시 4,968원
9% 부담 시 2,981원
6% 부담 시 1,987원
기초수급자는 역시 0원입니다.
작게는 28원,
크게는 하루 92원까지
2024년에 비해 인상된 셈입니다.
월 본인부담금 계산하기
하루 비용뿐만 아니라
월 단위로도 확인해보겠습니다.
먼저 15% 본인부담률입니다.
90분 요양, 월 31일 이용 시
월 수가 1,026,720원
본인부담금은 154,008원입니다.
60분 요양, 월 20일 기준
월 수가 491,600원
본인부담금은 73,740원입니다.
9% 부담률일 경우
90분, 31일 이용 시
92,405원 부담
60분, 20일 기준
44,244원 부담됩니다.
6% 부담률로 보면
90분, 31일 기준 61,603원
60분, 20일 기준 29,496원입니다.
가족요양 이용 시 주의사항
가족요양을 신청할 때
꼭 유의해야 할 조건도
다시 한번 확인해야 합니다.
가족 보호자가
타 직장에서 월 160시간 이상
근무할 경우, 가족요양은
이용하실 수 없습니다.
여기서 중요한 부분은
휴게시간까지 포함하여
160시간을 넘지 않아야
가족요양이 가능하다는 점입니다.
이 부분을 정확히 파악하지 못해
급여 전액을 환수당하는
사례도 적지 않습니다.
또한, 등록한 요양센터가
매년 달라지는 정책과
법률을 충분히 숙지하고
대응할 수 있는 곳인지
반드시 확인하셔야 합니다.
전문적이고 규모가 있는 센터를
선택하는 것도 중요한 팁입니다.
지금까지
2025년 가족요양 수가와
본인부담금 변화,
주의사항까지 살펴보았습니다.
부담금이 소폭 인상된 만큼
월 단위로도 미리 확인하시고
알맞게 계획하시기 바랍니다.
어르신 돌봄과
경제적 지원을 함께 챙기는
가족요양 제도,
꼼꼼히 알아두시고
손해 없이 이용해보세요.
#장기요양보험 #장기요양등급 #장기요양보험공단 #국민건강보험 #장기요양 #장기요양온라인신청 #노인장기요양보험 #장기요양보험혜택 #노인장기요양보험신청 #장기요양보험신청방법 #장기요양1등급 #장기요양2등급 #장기요양3등급 #장기요양4등급 #장기요양5등급 #인지지원등급 #노인장기요양 #노인장기요양등급#노인장기요양급여 #노인장기요양보험공단 #노인장기요양인정 #노인장기요양인정혜택 #장기요양등급혜택 #노인장기요양등급신청방법 #노인장기요양등급혜택